data-ad-format="auto" data-full-width-responsive="true"> L포인트 적립, 앱테크 추천
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L포인트 적립, 앱테크 추천

by 톨젠 2020. 12. 15.
728x90
반응형

L포인트라고 아는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롯데포인트는 매우 오래전부터 L포인트라는 이름으로 멤버십 서비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롯데그룹의 계열사가 매우 많고, 접근하게 될 가능성도 높기에, L포인트를 쌓아볼 요량으로 어떻게 쌓을 수 있는지를 찾아보고, 어플을 설치했다.

 

지금 내가 적립에 활용하고 있는 어플 리스트는 L포인트 어플, 세븐일레븐 어플, 롯데 하이마트 어플, 라임 어플, 롯데홈쇼핑 어플. 이 정도인데, 실제로 앱테크 고수들은 더 많은 어플을 설치하고 더 많은 포인트를 쌓고 있다. 하지만 나는 앱테크에서 나에게 스트레스를 줄 정도이면 행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생각하고 있기에, 조금만 불편할 것 같아도 시행하지 않는다. 

 

그래서, 단순히 버튼을 '클릭'할 수 있는 정도만으로 할 수 있는 앱테크를 하고자 했다. L포인트 어플에서는 출석체크, 룰렛돌리기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세븐일레븐 어플이나 롯데 하이마트 어플에서도 출석체크 버튼 누르기 정도면 포인트를 쌓을 수 있는데, 하루에 최대한 쌓을 수 있는 포인트는 이와 같다.

 

일주일이나 한달 출석체크를 다 채울 경우에는 보너스 포인트가 들어오기도 하지만, 최소한 하루에 18원 정도의 포인트를 쌓아, 한달이면 540원의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이건 최소한의 포인트인 것으로, 가끔 보너스 포인트나 높은 포인트가 들어오기도 한다. 그래서 쌓게 될 포인트를 생각하면 한 달 기준, 대략 700원 정도의 포인트를 쌓는다고 보면 된다.

 

700원이면 매우 적은 돈이다. 편의점에서 뭘 사려고 둘러봐도 라이터 말고는 살 수 있는게 없을 정도의 돈. 하지만, 출퇴근 하는 시간에 짬내서 버튼 몇번 누르면 자연히 들어오는 돈이며, 1년으로 치면 8,400원이다.

이는 100만원의 예금을 1년간 단리 이자 1%로 예치했을 떄 받을 수 있는 이자 금액과 거의 유사하다. 나는 100만원의 예금 이자를 받고 있는 셈. 100만원이 요새 생각으로는 적은 돈일 수 있지만, 100만원이 주는 의미는 크다. 우리의 월급이 100만원도 안되던 시절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앱테크, 티끌모아 티끌이라고는 하지만, 앞으로도 계속할것이다. 월 휴대폰 요금에서 700원을 감면한다 생각하든, 100만원짜리 1% 이율 예금을 들고 있다고 생각하든, 무엇이든 나에게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