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이야기

영화 1987 후기

반응형

영화 1987은 봐야하는 영화였다. 그래서 봤다. 그뿐이었다. 하지만 영화가 끝난 후, 쉽게 자리에서 일어날 수가 없었다. 영화볼 때 말고 영화가 끝난 후, 눈물이 계속 흘러내렸다. 실화가 영화보다 더 잔인했다. 정말... 그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이었다. 영화가 아니라, 실제했던 일이었다. 많은 이들이 알고 있다. 1987년 박종철이란 학생이 고문치사로 사망했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까지 적나라하게 드러내주진 않았다. 



영화는 이 두 명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지 않다. 박종철 학생으로 인해 드러난 남영동의 무절제적인 폭력행위와 빨갱이 소탕작전, 그리로 그 시절, 젊은이들은 그렇게나 화가 나 있었다는 것을, 세상을 바꾸고 싶어했다는 것을 다루고 있다.

조사관이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어!??

제일 잘 살린 대화 중 하나. 어!??할 때의 그 뉘앙스는 정말...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22살 대학생이 사망한다. 급하게 의사를 불렀지만, 이미 사망한 상태. 고문 증거를 없애기 위해 박처장(김윤석)의 명령 하에, 경찰이 검찰에 시신 화장 요청서를 들이밀지만, 당일 당직이었던 최검사(하정우)는 사망한지 12시간도 채 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빌미로 부검을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사진 : 한겨례)


배우들과 실존 인물의 만남 :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1624693&memberNo=25041664&vType=VERTICAL


당시의 실존인물이었던 최검사(하정우)와 검시관(황적준). 그들이 가진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를 은폐하려는 청와대 이하 검찰, 경찰의 노력이 혁혁하게 보인다. 이 사건을 취재하던 기자들의 모습은 지금의 기자들의 모습과는 달리 그려지고 있는데, '받아쓰기'를 하던 그들이 각오하고 물고문 도중 질식사 기사를 보도한 윤기자(이희준), 그리고 사건의 진상을 재야의 희망에게 알리기 위해 위험한 행동을 하게 된 교도관 한병용(유해진), 비둘기인 한병용의 조카 연희(김태리), 그리고 이한열(강동원), 그리고 모든 국민들...


 한 사람이 죽고,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모두가 뜨거웠던 1987년의 이야기.


그들의 분노는 당연했다. 억눌려있던 그들이 터지게 만든 압박은 사람의 생명에 의한 것이었다. 그것이 모든 것을 변화시켰다. 그렇게, 그들이, 우리의 세상을 바꿨다.

반응형

'문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 후기  (0) 2018.02.14
영화 미스슬로운 후기  (0) 2018.01.09
영화 박열 후기  (0) 2018.01.08
영화 신과 함께 죄와 벌 후기  (0) 2018.01.08
영화 원더 감상 후기  (0) 2018.01.07